티스토리 뷰
서울시가 이달부터 난임부부에게 소득과 상관없이 모든 난임시술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작했습니다. 기존의 소득 기준이 제거되어 모든 난임부부가 시술비를 회당 20만 원에서 11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시험관, 인공수정 등 시술 종류와 상관없이 총 22회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난임부부들은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이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더욱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난임부부에게 소득과 상관없이 모든 난임시술 비용을 지원하는 새로운 정책을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의 건강보험 적용 후 본인부담금만 지원하던 난임 부부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어집니다. 기존에는 난임부부가 건강보험 적용 후 본인부담금의 20만 원부터 110만 원까지 지원받았으며, 맞벌이 부부는 대부분 지원대상에서 제외되어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모든 난임부부가 시술비를 회당 20만 원부터 11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시술 종류와 상관없이 총 22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지원 확대 계획을 지난 3월에 발표했습니다. 난임 시술을 통해 태어나는 초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번 대책은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많은 난임부부들이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를 내어 계획을 7월로 앞당기게 되었습니다.
지원대상은?
✅서울시 거주(6개월 이상) 난임부부(사실혼 포함)
- 거주기간 확인 : 부부 중 여성 난임자이 주민등록 거주 정보 확인
지원 확대 내용은?
첫째 !! 기존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을 폐지하고, 모든 난임부부가 지원 대상이 되었습니다.
둘째!! 이제는 소득과 상관없이 모든 난임부부가 시술비를 회당 20만 원부터 11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시술별 횟수 제한을 폐지해 총 22회까지 시술비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난임자들은 시험관, 인공수정 등 적합한 시술을 선택하여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술비는 22회 내에서 나이와 시술 종류에 따라 상한액으로 지원됩니다.
신청방법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모든 난임부부(사실혼 포함)는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거나 보건소에 전화 또는 방문 상담을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 24 로그인 및 접속>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신청
✅e보건소 공공포털 > 의료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신청
✅주민등록 거주지 보건소 방문
서울시는 난임부부 지원 확대를 앞당겨 시행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변경 협의, 조례 개정, 추가예산 확보 등 사전 준비 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했습니다.
이제 난임 부부들은 경제적인 부담 없이 원하는 시술을 받을 수 있으며, 아이를 가질 수 있는 희소식에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이번 지원 확대 정책이 초저출생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을 위한 금융혜택 : 공제회 적금 프로그램(프리랜서목돈마련) (0) | 2023.09.04 |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2차 추가모집 신청 안내 (0) | 2023.09.04 |
서울시, 저소득가구 집수리 지원 확대! 희망의 집수리 사업 참여 방법 안내 (0) | 2023.07.18 |
대학생들을 위한 서울희망 대학진로 장학금 신청 방법은? (0) | 2023.07.18 |
소상공인을 위한 냉방비 부담 완화! 고효율 에어컨 교체 지원 프로그램 안내(최대160만원!)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