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소 집에 먹다 남은 약들을 어떻게 버려야할 지 고민했던 경험 있으시죠?

일반 쓰레기와 버리면 되는 것인지, 따로 방법이 있는 것인지 궁금하셨을거에요.

올바르게 약 버리는 법과 버리는 곳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폐의약품 왜 함부로 버리면 안될까요?

 

폐의약품이 땅에 매립되거나 하수구에 버려지면 약 성분이 토양과 하천에 흡수돼 환경 오염과 수질오염, 생태계 교란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한강도 항생제에 오염되서 물을 정수해서 잔류되어 있다고 하죠.ㅜㅜ 

그 물을 우리가 다시 먹는 다고 생각하니 아찔합니다. 

(일반 쓰레기로 버리셨거나 하수구에 버리셨던 분들 뜨끔하시죠?! 사실 저도 버리는 법을 잘 몰라서 일반 쓰레기로 많이 버렸습니다.ㅜ)

 

폐의약품 버리는 법은? 

✅알약

포장지를 제거한 다음 따로 알약만 모아서 배출합니다.

캡슐 알약은 외부 캡슐을 벗겨내고 안에 든 가루약만 따로 모아서 배출합니다.

 

✅ 가루약

포장지를 뜯지 않고 그대로 배출합니다.

 

✅ 물약과 시럽

한 병에 모은 후 새지 않도록 밀봉해 배출합니다.

 

✅ 연고, 안약 외 의약품

겉에 종이박스만 제거하고 용기 그대로 배출합니다. 

 

각 약 별로 버리는 법이 다르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폐의약품 버리는 곳은?

 

남은 약은 가까운 약국에 놓인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시면 됩니다. 

 

📍홍삼, 자양강장제 등 건강보조식품은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시면 안됩니다. 

 

 

예전에는 약 버리는 법이 까다로워서 일반쓰레기와 함께 버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약국에 있는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시면 됩니다. 

 

안양시에서는 폐의약품의 수거와 배출장소를 찾는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4개 단체 (안양시, 안양시약사회, 동아제약, 용마로지스)가 업무협약(MOU)를 맺어 편하게 약을 버리고 수거할 수 있게 개선하였습니다. 

 

우리가 몸이 아플때는 도움이 되는 약이지만, 오래되서 버릴 때는 환경을 위협하는 것이 바로 약입니다.

올바르게 분리 배출하여 환경보호 할 수 있도록 꼭 약 버리는 법과 약 버리는 곳 꼭 확인하셔서 버리시기 바랍니다. 

 

반응형